
연말정산 이란?
근로자가 올해 납부한 근로소득세를 정산하는 절차로서,
원천징수의무자(회사)가 다음연도 2월분의 급여를 지급할 때
매월 급여 지급시 이미 원천징수한 세액이
세법에 따라 정확하게 계산한 연간 근로소득세액보다 많은경우
많이 낸 세금은 돌려주고,
적게 낸 세금은 추가 납부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에 언급된 근로소득세가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나의 소득에서 원천징수 할 세액이 결정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소득
- 일반적으로 고용관계 또는 이와 유사한 계약에 의하여 비독립적 인적용역인 근로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지급받는 소득(봉급, 급료, 보수, 세비, 상여금, 직무발명보상금 등)이 근로소득에 해당 됨.
※ 사업소득, 기타소득, 퇴직소득과의 구분
- (근로소득) 고용관계나 이와 유사한 계약에 의하여 근로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
- (사업소득) 고용관계 없이 독립된 자격으로 계속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 →수입금액의 3% 원천징수
- (기타소득) 일시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 →기타소득금액(수입급액-필요경비)의 20% 원천징수
- (퇴직소득) 사용자 부담금을 기초로 하여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지급받는 소득 등 →퇴직시 원천징수
2. 원천징수
- 소득금액 또는 수익금액을 지급하는 자가, 그 지급을 받는자가 부담할 세액을 정부 대신 징수하는 방식
※ 맞춤형 원천징수제도
근로자는 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액의 비율 (80%, 100%, 120%)을 선택할 수 있으며,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신청서'를 제출하거나, 소득세액공제신고서에 해당 비율을 기재하여 제출.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 100%이며, 원천징수 비율을 변경한 경우 과세기간 종료일까지는 계속 적용.
3. 근로소득세 확인방법
① 홈택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조회 서비스 (국세청 홈택스→조회/발급→기타조회→근로소득간이세액표)
나의 월 급여액이 300만원이라 가정하고, 1인가구 선택 후 조회하기를 누르면
소득세 84,850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납부세액의 합계액은 지방소득세도 함께 포함되어있는데
이는 소득세를 원천징수 할 경우 지방소득세도 함께 특별징수되기때문에
소득세의 10%가 지방소득세로 추가로 징수됩니다.

②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이용 방법 (홈택스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검색 후 다운)

위와 같은 예로
나의 월 급여액이 300만원이라 가정하고, 1인가구일때
간이세액표에 따라서
내가 납부할 근로소득액은 84,850원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을 통해서
매달 나의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세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초년생 시절에는 세금을 얼마나, 왜 떼어가는지
궁금하지 않았습니다ㅎㅎㅎ
하지만 진급을 하면서 월급이 오르다보니
덩달아 납부하는 세금이 굉장히 크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왜 이렇게 내 월급에서 세금을 많이 떼어가는 것인가!!!!!!
제대로 계산해서 떼어가는 것이 맞는 것인가!!!!
라는 의심으로 시작해서 꼼꼼히 따져봤던 경험이 있습니다.ㅎㅎ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며 의심하고 있을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합니다.!!!
'지금은 근로자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소득공제 2 : 연금보험료공제 (0) | 2022.01.19 |
---|---|
연말정산 소득공제 1 : 인적공제 (0) | 2022.01.18 |
근로자 연말정산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2 (0) | 2022.01.16 |
근로자 연말정산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1 (0) | 2022.01.14 |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서비스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