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초년생 시절
돈 모아서 뭐할 거냐??라고 물으면
저는 노후대비라고 답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살다 보니 노후는커녕
10년 뒤의 계획도 세우지 못하고
결국에는 한 달 월급으로 한달살이를 하고 있더군요.
올해는 직장인 10년 차를 시작하는 해입니다..
지난 10년간 저는 대체 뭘 했는지...ㅎㅎㅎ
물론 지금 하고 있는 모든 재테크 수단은
향후 퇴직 후를 위한 자금이 되긴 하겠지만
내가 퇴직 후 한 달에 얼마의 생활비가 필요할지
얼마의 현금 흐름을 만들어야
다 늙어서 아쉬운 소리 안 하고 살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금액은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늘부터
노후대비 포스팅을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나의 노후 대비를 위한 첫 포스팅은
나의 연금 현황 확인하기.
내 연금 확인하기 : 통합 연금포털
통합 연금포털에서는 개인의 연금 상품을 통합하여 조회하고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동의를 하면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에 가입한 나의 연금 내역을 통합하여 분석해 주는 아주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국민연금 조회
제일 먼저 국민연금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금 개시 연도는 2052년... 까마득하네요
최저 (3.2%)를 선택해서 산출한 예상 연금수령액은..
나쁘진 않은데요???
하지만 과연 제가 이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일단은 없는 셈 치겠습니다.

개인연금
저는 3개의 개연연금 상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개인연금펀드
회사 복지로 가입되어 있는 교보생명의 연금저축보험
개인적으로 가입한 삼성화재 해상보험의 연금저축보험
현재,
매달 정액 납부하고 있는 건 삼성화재의 연금저축보험이 유일합니다.
개인연금펀드에는 그 달에 여유가 있으면 납입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로는 매월 납입하기가 빡빡하네요ㅠ
연말정산 세액공제 한도 400만 원을 채우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나..
2021년 귀속 연도 연말정산에는 400만 원 채우는데 실패했습니다.
올해에는 꼭 한도를 채우고 싶은데...
올해는 작년보다 더 힘들 듯싶네요.ㅠㅠ

퇴직 연금 (DB, DC, IRP)
우리 회사는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하기 않고 있기 때문에
지금 현재 제가 가입된 퇴직연금은 없습니다.
IRP 추가 가입 계획 또한 올해에는 없습니다..
연금 400만 원도 못 맞추는데
IRP는 가당치도 않죠.

예상 연금액
연금 개시일 이후 내가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하하하
그래프를 보면 저는 국민연금 없으면
말년에 라면 하나 못 사 먹겠는데요???
심각합니다.

엑셀 다운로드를 하면 연도 별 연금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5세~90세까지 정리된 자료라 너무 길어 포스팅하기는 곤란하기에
아래 표와 같이 일부만 발췌했습니다.
키움증권의 연금저축펀드는 55세~65세 까지 수령한다고 설정을 했었나 봐요..
잘 기억나지 않아서.. 다음에
연금 개시 조건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내가 퇴직 후 매월 얼마의 연금을 받게 될지
계산을 해보니... 더 갑갑해지네요. ㅎㅎ
65세까지는 매월 60만 원대를 받을 수 있는데...
이걸로 살 수 있는가요???
연금 타서 노후에 살겠다는 생각은 절대로 하면 안 되겠습니다.
반드시 노후에는 수익형 부동산 쥐고서 임대료 받는 생활을 목표로
노력해야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하며
경각심을 다시 한번 느끼고
열심히 벌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ㅎ
'노후 대비_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사망일시금 : 유족이 없는 경우 (0) | 2022.03.31 |
---|---|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조건 (0) | 2022.03.29 |
분할연금이란? (이혼 후 국민연금) (0) | 2022.03.28 |
노령연금이란? (노령연금 지급연령, 조기노령연금, 연금 연기제도) (0) | 2022.03.28 |
국민 연금의 종류, 지급기간 및 지급일, 크레딧 (0) | 2022.03.25 |